반응형

합병정렬 3

[백주 2805번/C언어] 나무 자르기

백준 2805번 문제를 merge sort (합병 정렬)을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2805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문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문제는 여러 번의 시간초과를 겪은 끝에 성공했는데, 처음 몇 번 시도가 모두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코드여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많이 했다. 결국 O(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merge sort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나무의 개수인 N과 필요한 총 나무의 길이인 M이 터미널 입력으로 주어지면, 자를 수 있는 최대 나무의 높이를 구해서 출력하면 된다. 여기서 자를 수 있는 최대 나무의 높이라는 것은, 해당 높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합이 M이상이 되는 최대 높이를 말..

[백준 1931번/C언어] 회의실 배정, Merge Sort로 풀이

백준 1931번 문제를 Merge Sort(합병 정렬)을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931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 특성상 먼저 정렬을 해준 후 푸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Merge Sort를 이용하여 정렬을 해준 후 문제를 풀어주었습니다. 원래는 Linked List를 이용해서 정렬을 했는데, O(n^2) 이상의 복잡도가 나와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정렬 중 최악의 경우에 가장 효율적일 수 있는 O(n log n)의 복잡도를 가진 Merge Sort를 이용했습니다. Merge ..

[백준 1920번/C언어] 수 찾기, 이진탐색으로 풀이

백준 1920번 문제를 이진탐색(Binary Search)으로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920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920 1920번: 수 찾기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해당 문제를 풀이하면서, 이진탐색트리와 hash table도 사용해 보았으나, 모두 시간 초과로 실패하여 결국 Merge Sort(합병정렬)로 입력받은 배열을 정렬한 후에 Binary Search(이진탐색)를 통해 수를 찾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