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iscine 3

[Hive Helsinki / Piscine] BSQ

극악의 난이도로 유명한 BSQ, 굳이 도전하지 않는 사람도 많았고, 성패가 딱히 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듯싶은 프로젝트였다. (당연하다. 아무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계속 c 프로젝트만 하고 있기에는 c 프로젝트의 난이도가 대체로 초심자에 맞춰 형성되어 있어서 나한테는 단순 반복 같이 느껴질 때가 많았다. rush 프로젝트들을 통과하지는 못했지만 하면서 가장 재밌다고 느꼈기 때문에, bsq 시작 전에 최대한 c 진도를 합격자들과 비슷하게 맞춰두고 남은 시간을 bsq에 쏟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통과하지 못할 코드로 팀원까지 두 번의 긴 평가를 받게 하기는 너무 미안해서 한 번 평가를 받은 후 포기했다. 여기에 게시하는 코드는 피신 이후 내가 수정한 코드이다.  그리고 끝까지 날 ..

[Hive Helsinki / Piscine] C08

C08은 전반적으로 헤더파일에 관한 내용이다. 헤더파일은 복수개의 파일을 컴파일하거나 작성할 때 같은 헤더나 선언을 여러 번 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해당 프로젝트는 헤더파일과 구조체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가지고 풀 수 있다. 헤더파일 같은 경우 내용이 어렵지 않지만, 구조체는 처음 본다면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 사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활용보다는 선언 정도를 하기 때문에 처음 익히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Exercise 00: ft.h Create your ft.h file.Allowed Function: None  첫 번째 문제는 간단히 주어진 프로토타입의 함수를 포함한 헤더파일을 작성하기만 하면 된다. 다만 42에서 헤더파일을 작성할 때에 주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첫 번째는 #if..

[Hive Helsinki / Piscine] Rush01

Rush01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1, 2, 3, 4의 높이를 가진 막대를 알맞게 배치하는 문제이다. 문제를 이해하는 데까지도 좀 어렵다고 느꼈고, 풀이하는 데는 더욱 오래 걸렸다. 결국 마지막에 사소한 실수와 malloc check를 하지 않은 문제들로 인해서 fail을 받았지만, 결국 출력을 할 수 있게 만드는 데에는 성공했다. 여기서 적는 방법은 피신 이후 내가 오류나 효율성을 고려해서 코드를 수정한 내용이다. 따라서 피신에서의 형식이나 규칙에 어긋나는 부분(금지 함수를 쓰는 등의 제한을 어긴 것은 아니지만, 띄어쓰기나 인자, row 수 제한 등의 규칙은 신경 쓰지 않았다)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문제의 접근 방식만 참고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예시 input으로 문제에 대한 설명부터 해보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