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23

[백주 2805번/C언어] 나무 자르기

백준 2805번 문제를 merge sort (합병 정렬)을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2805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문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문제는 여러 번의 시간초과를 겪은 끝에 성공했는데, 처음 몇 번 시도가 모두 O(n^2)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코드여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많이 했다. 결국 O(N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merge sort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나무의 개수인 N과 필요한 총 나무의 길이인 M이 터미널 입력으로 주어지면, 자를 수 있는 최대 나무의 높이를 구해서 출력하면 된다. 여기서 자를 수 있는 최대 나무의 높이라는 것은, 해당 높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합이 M이상이 되는 최대 높이를 말..

[Hive Helsinki / Piscine] BSQ

극악의 난이도로 유명한 BSQ, 굳이 도전하지 않는 사람도 많았고, 성패가 딱히 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듯싶은 프로젝트였다. (당연하다. 아무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계속 c 프로젝트만 하고 있기에는 c 프로젝트의 난이도가 대체로 초심자에 맞춰 형성되어 있어서 나한테는 단순 반복 같이 느껴질 때가 많았다. rush 프로젝트들을 통과하지는 못했지만 하면서 가장 재밌다고 느꼈기 때문에, bsq 시작 전에 최대한 c 진도를 합격자들과 비슷하게 맞춰두고 남은 시간을 bsq에 쏟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통과하지 못할 코드로 팀원까지 두 번의 긴 평가를 받게 하기는 너무 미안해서 한 번 평가를 받은 후 포기했다. 여기에 게시하는 코드는 피신 이후 내가 수정한 코드이다.  그리고 끝까지 날 ..

[Hive Helsinki / Piscine] C08

C08은 전반적으로 헤더파일에 관한 내용이다. 헤더파일은 복수개의 파일을 컴파일하거나 작성할 때 같은 헤더나 선언을 여러 번 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해당 프로젝트는 헤더파일과 구조체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가지고 풀 수 있다. 헤더파일 같은 경우 내용이 어렵지 않지만, 구조체는 처음 본다면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 사실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활용보다는 선언 정도를 하기 때문에 처음 익히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Exercise 00: ft.h Create your ft.h file.Allowed Function: None  첫 번째 문제는 간단히 주어진 프로토타입의 함수를 포함한 헤더파일을 작성하기만 하면 된다. 다만 42에서 헤더파일을 작성할 때에 주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첫 번째는 #if..

[Hive Helsinki / Piscine] Rush01

Rush01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1, 2, 3, 4의 높이를 가진 막대를 알맞게 배치하는 문제이다. 문제를 이해하는 데까지도 좀 어렵다고 느꼈고, 풀이하는 데는 더욱 오래 걸렸다. 결국 마지막에 사소한 실수와 malloc check를 하지 않은 문제들로 인해서 fail을 받았지만, 결국 출력을 할 수 있게 만드는 데에는 성공했다. 여기서 적는 방법은 피신 이후 내가 오류나 효율성을 고려해서 코드를 수정한 내용이다. 따라서 피신에서의 형식이나 규칙에 어긋나는 부분(금지 함수를 쓰는 등의 제한을 어긴 것은 아니지만, 띄어쓰기나 인자, row 수 제한 등의 규칙은 신경 쓰지 않았다)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문제의 접근 방식만 참고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예시 input으로 문제에 대한 설명부터 해보겠다...

[백준 10845/C언어] 큐 풀이

백준 10845번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0845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10845번: 큐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큐(Queue)는 대표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입니다. 보통 스택(Stack)과 함께 이야기되는데, 큐는 FIFO(Frist In First Out, 선입선출)이고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후입선출)를 구현한 대표적인 자료구조에 해당합니다. C언어에서 큐를 구현할 때는 ..

[백준 10816/C언어] 숫자 카드 2 풀이

백준 10816번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0816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816 10816번: 숫자 카드 2 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10,00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문제는 검색이 용이하도록 입력받은 숫자 카드를 저장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하지만 low level languae에 해당하는 c언어의 특성상 검색이 용이한 배열을 만들어 저장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주로 주어지는 숫자를 인덱스, 즉 key값으로 하는 hash ..

[백준 1931번/C언어] 회의실 배정, Merge Sort로 풀이

백준 1931번 문제를 Merge Sort(합병 정렬)을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931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 특성상 먼저 정렬을 해준 후 푸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Merge Sort를 이용하여 정렬을 해준 후 문제를 풀어주었습니다. 원래는 Linked List를 이용해서 정렬을 했는데, O(n^2) 이상의 복잡도가 나와서 시간 초과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정렬 중 최악의 경우에 가장 효율적일 수 있는 O(n log n)의 복잡도를 가진 Merge Sort를 이용했습니다. Merge ..

[백준 14501번/C언어] 퇴사, 동적계획법(DP, Dynamic Programming)으로 풀이

백준 14501번 문제를 Dynamic Programming (DP, 동적계획법)을 이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14501번: https://acmicpc.net/problem/14501 14501번: 퇴사 첫째 줄에 백준이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문제는 앞서 언급한 대로 동적계획법으로 푸는 문제입니다. 혹시 동적 계획법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라면 더 쉬운 동적계획법 문제부터 차근히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그러한 과정을 거쳤고, 아래 링크 글부터 순서대로 동적계획법 문제들이 쭉 풀이되어 있는 것을 제 블로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rogramming-diary-ina.tistory.com/7..

[백준 2667번/C언어] 단지번호붙이기 풀이

백준 2667번 문제를 linked list와 재귀함수를 사용하여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2667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667 2667번: 단지번호붙이기 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문제는 어렵다기보다는 이것저것 고려할 게 많아서 좀 번거로운 문제에 가깝다고 느꼈습니다. 2차원 배열을 만들어서 입력을 받아야 하고, 그 안에서 단지의 개수를 셈과 동시에 한 단지 내의 몇 개의 가구가 포함되는지도 세어야 하고, 또 결과적으로는 몇 개의 가구가 각각의..

[백준 2164번/C언어] 카드2 풀이

백준 2164번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백준 2164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164 2164번: 카드2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www.acmicpc.net 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문제는 접근법이나 알고리즘을 굳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처음에 풀 때 어떻게 더 간단히 할 수 있을까를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다가 적절한 방법을 찾지 못했는데, 오히려 문제를 직관적으로 더 간단하게 접근하니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문제를 해결한 방법을 간략히 먼저 말씀드리..

728x90